본문 바로가기
교양, 상식

원초적 본능

by freewind 인문 2023. 1. 31.
728x90

원초적 본능

 

아트앤스터디     지식메일      2012. 11. 08

 

 

 

벤야민은 그의 저서 아케이드 프로젝트에서 윤락녀를 자본의 중심에 있는 하나의 대상으로 묘사한 바 있다.

19세기 파리의 아케이드에서 창녀는 자본을 빨아들이는 악마와 같은 존재로 인식됐다.

자본이 있는 곳에는 항상 창녀가 있었다.

 

창녀는 한 시대에서 하나의 상징이며 가변적인 존재이다.

그래서 그럴까?

벤야민은 윤락녀만이 아니라 잘 만들어진 상품을 섹시한 창녀로 보기도 했다.

 

'섹시'의 요소는 상품이 지녀야 할 필수적인 덕목인 것이다.

자본주의 사회는 온갖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고, 파는 모두를 흥정의 대상으로 만들어 버린다.

상품은 '난 당신에게 진정한 사랑을 줄 수 있어요.'라는 메시지를 보내며 누군가의 지갑을 자연스레 열기 위해 애쓴다.

 

그렇다면 무엇이 '섹시'한가.

취조자를 농락하는 샤론 스톤의 스커트 속 다리가?

흑백 컬러의 광고 속 도드라진 붉은색 입술이?

물 흐르는 듯한 굴곡진 몸매가?

광고 사진에서 다리 가랑이 사이에 상품을 두거나, 입술 등의 육체를 강조하는 방식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런 종류의 사진을 본 사람들의 시선이 어디를 가장 먼저 향하는지는 숱한 실험에서 증명됐다.

 

어느 화보 회사의 프레젠테이션을 우연히 본 적이 있다.

거기에는 한 연예인의 화보 마케팅 전략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었다.

회사는 대중의 흥미를 끌기 위해 출연해야 할 TV 프로그램 목록을 빽빽이 적어 놨다.

또한, 화보를 어떻게 더욱 야하게 포장할 수 있을지 캐치프레이즈들을 제시해 놓았다.

그 안에서 연예인은 또 다른 상품이었다.

 

자본은 돈을 끌어모을 '육체적 상품'을 끝없이 물색한다.

이제 그 범위는 잘 알려진 연예인을 넘어 스포츠 선수, 일상을 사는 일반인에까지 촉수를 뻗친다.

육체적 매력이 자본을 유통하는 매개가 된다는 것을 인지하기란 얼마나 쉽던가.

단지 광고에서만 이용하는 화면 구성은 아닐 것이다.

당연히 육체적으로 매혹적인 데 눈길이 간다.

 

 

또 다른 '섹시'한 상품은 요즘 언론 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언어에 있다.

요즘 언론 매체는 보도보다는 누가 누가 더 '섹시'하게 낚는, 제목을 쓰느냐가 관건이 되었다.

'경악! 깜짝! 알고 보니! 깜놀! 설마 했더니' 등 호기심을 자극하는 어휘들과

'아니라더니 7명을 동시에' 등 이중적인(야한) 의미로 된 제목의 기사는

정말 '알고 보면' 놀랄 만하거나 욕망을 자극하는 내용은 아니다.

 

이런 기사들은 클릭을 잡아내 조회수를 올려 언론사의 이름을 널리 알리고 광고 단가도 높인다.

'섹시'한 언어들로 구성된 기사가 또 다른 상품이 되어 독자를 유혹한다.

평범한 제목의 기사는 별 볼 일 없을 것 같고, 이런 식의 섹시한 제목의 기사는 클릭 한 번이면 호기심을 해소하고,

유혹의 끝을 맛볼 수 있을 듯하다.

 

상품은 낡아 그 효용성이 없어지면 버려지고 만다.

자본주의가 발달할수록 그 시간은 점차 단축된다.

온갖 상품들 속에서 '섹시'한 코드만 만나느라 지쳐가고, 가치를 매기는 일 자체가 점점 사라지는 듯하다.

인간에게 가치가 매겨진다는 말은 반대로 가치가 없어질 수도 있다는 말이 되지 않을까?

모두 '섹시'한 상품에만 파묻혀 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

 

 

- Written by heyleeyu (heyleeyu@artnstudy.com

 

댓글